2025~2026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1) 질병관리청은 2025-2026 절기의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9월 중순부터 시행하기로 발표했다.
2) 어린이(6개월 ~ 13세),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에 대해 무료 접종 지원이 확대됐다.
3) 보건소 또는 위탁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하며,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라는 안내가 있다.
4) 일부 보건소에서 계란 알레르기자 대상 세포배양 백신 옵션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지침이 있다.
5) 이러한 정책 변화는 작년 이전 절기와 비교했을 때 접종 기회 확대와 무료 지원 대상 확대 측면에서 중요한 전환입니다.

백신 종류, 구성, 효과
1. 백신 유형
1) 불활성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사멸된 바이러스를 포함한 전통적 방식
2) 세포배양 기반 백신(Cell-culture) 또는 재조합 단백질 백신: 계란 기반 배양의 한계(알레르기, 변이 가능성 등)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3) 라이브 약독화 백신(LAIV, nasal spray): 코 점막에 약한 바이러스를 접종하는 방식(모든 연령대에 허용되는 것은 아님)
4) 2025-2026 절기 권고 백신 구성은 WHO 권고와 FDA 권고가 일부 일치하며, 앞서 언급한 균주들이 포함됩니다.
5) 일부 지역 백신 제조사는 계란 기반 방식과 재조합 방식 백신을 병행 공급합니다.
2. 3가백신 4가백신 논쟁
1) 4가 백신은 3가 백신 + B형 Yamagata 계통을 포함해 예측 범위를 넓히는 형태였다.
2) 다만 최근 Yamagata 계열 바이러스가 거의 검출되지 않고 있어, 일부 국가 및 기관에서는 3가 백신으로 전략 전환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는 보도가 있다.
3) 이러한 전환이 효과 또는 면역 범위에 미치는 영향은 백신 일치도·유행 균주와의 매칭 여부에 달려 있다.
3. 백신 효과, 한계, 면역 형성 시기
1) 일반적으로 접종 후 2주 정도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어 예방 효과가 올라간다.
2) 백신은 모든 감염을 막는 것은 아니지만, 중증화·입원율·사망률을 상당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3) 백신 효과는 접종 시기, 면역 상태, 유행 균주의 일치성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
4) 어떤 자료에서는 불활성화 백신은 유효 기간이 수개월로 한정되며, 유행 절정 시점을 감안한 접종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본다.

국가예방접종 사업; 일정, 대상, 접종
1. 접종 일정 타임
1) 어린이(2회 접종 대상): 2025년 9월 22일부터 시작, ~2026년 4월 30일까지 접종 가능.
2) 어린이(1회접종자 포함): 2025년 9월 29일부터 접종 가능 ~2026년 4월 30일까지.
3) 65세 이상 어르신: 접종 시작일이 연령 그룹별로 차별화됨 (예: 75세 이상은 10월 15일부터, 70~74세는 10월 20일 등)
4) 임신부: 2025년 9월 29일부터 접종 가능 ~2026년 4월 30일까지.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하며, 접종 가능 여부는 방문 전 해당 의료기관에 확인해야 합니다.
2. 국가예방접종 대상자 세부 기준
1) 어린이: 생후 6개월 ~ 만 13세 (2012.1.1.~2025.8.31. 출생자)
2) 어르신: 65세 이상 (1960.12.31 이전 출생자)
3) 임신부: 임신 여부 확인 가능한 문서 제시 시 접종 가능 (임신 주수 무관)
이와 함께 일부 위탁 의료기관에서는 세포배양 백신 옵션을 제공하므로, 알레르기자나 계란 알레르기 위험군은 이를 미리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접종 시점 전략
1. 최적 접종 시점
1)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은 가을~겨울에 시작하므로, 9~10월 중순 접종이 이상적이다.
2) 다만 일부 고위험군(고령, 만성질환자)은 유행이 늦게 시작되는 경우 대비해 다소 늦게 접종하더라도 유익할 수 있다.
3) 너무 일찍 접종하면 면역이 유행 절정기까지 오래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2. 고위험군 맞춤 전략
1) 고령층이나 면역저하자: 고효능 고용량 백신이나 면역증강형 백신 옵션 고려
2) 임신부: 임신 주수에 상관없이 접종 가능하므로, 가능한 빠른 시점에 접종하는 것이 좋다
3) 어린이: 첫 접종 연령대인 경우 2회 접종이 필요하며 두 접종 간격은 약 4주 권고됨
3. 접종 준비 체크리스트
1) 의료기관 방문 전 예방접종 가능 여부 및 백신 종류(3가/4가, 세포배양 등) 문의
2) 건강 상태 점검(발열, 급성 질환 등 유증상 시 접종 연기)
3) 접종 후 15~30분 대기 공간 확보 및 이상 반응 대비
4) 접종 후 일정한 휴식 + 수분·영양 보충

부작용과 금기
1. 대표 부작용
1) 국소 반응: 주사 부위 통증·발적·부기
2) 전신 반응: 근육통, 피로, 발열, 두통
3) 드문 이상 반응: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 길랭-바레 증후군(GBS)의 가능성 (매우 드문)
접종 후 이상 증상 발생 시 즉각 의료기관에 연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접종 금기 및 주의 대상
1) 중증 알레르기 병력(백신 성분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었던 사람)
2) 발열 또는 급성 질환 상태인 경우 접종 연기
3) 이전 백신 접종 중 이상 반응을 겪은 사람
4) 면역 억제 치료 중인 사람은 의료진과 사전 상담
5) 출혈성 질환자 또는 항응고제 복용자: 주사 방식 및 출혈 위험 고려
예방접종 실패와 돌파감염
1. 백신 효과 한계 요인
1) 백신-유행 균주 불일치 (Mismatch)
2) 접종 후 시간 경과로 항체 감소
3) 고령·면역저하자에서는 면역 반응 저하
4) 여러 질환 동시 존재 시 복합 요인
2. 돌파감염 사례
1) 예방접종 후에도 인플루엔자에 걸리는 돌파감염 사례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증상이 경미하거나 입원율·중증률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2) 돌파감염 예방을 위해 마스크 착용, 손 위생, 환기 등 비약물적 예방수단 유지가 필수입니다.
3) 일부 동물 실험 결과에서는 계절 백신이 조류 인플루엔자(A(H5N1)) 변종 균주에 대해 일부 교차 반응 항체를 유도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WHO 및 백신 조성
1) WHO는 2025-2026 북반구 절기 인플루엔자 백신의 후보 바이러스 구성을 발표했다. 백신에는 A/Victoria/4897/2022 (H1N1)pdm09 유사 균주, A/Croatia/10136RV/2023 (H3N2) 유사 균주, 그리고 B/Austria/1359417/2021 (B/Victoria 계통) 유사 균주가 포함될 것을 권고했습니다.
2) 이는 3가 백신 구성이며, 일부 백신 제조 방식(계란 기반, 세포배양 또는 재조합 단백질 기반)에 따라 균주 구성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3) 또한 일부 보도에서는 최근 B형 Yamagata 계통이 오랫동안 검출되지 않아 3가 백신 전환 움직임이 국내에서도 일고 있다는 내용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지역별 위탁의료기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