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병원 (호스피스 완화의료)
호스피스 병원 (호스피스 완화의료)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신체적 증상을 완화하고, 심리적 · 사회적 · 영적 고통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의사 · 간호사 ·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팀이 함께 환자와 가족을 돌보며, 남은 삶을 보다 평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호스피스 병원 서비스
1. 입원형 호스피스
1)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합니다.
2) 담당의사나 해당 분야 전문의 1명으로부터 말기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3) 필요서류) 말기암 진단 의사소견서 (진단의뢰서), 최근 검사결과 의무기록 사본 (혈액, CT, MRI 등), 최근 영상검사 (CT, MRI 등) DVD
2. 가정형 호스피스
1) 말기암,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만성 호흡부전, 후천성면역결핍증, 만성 간경화 환자가 대상입니다.
2) 전문교육을 받은 의료진이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합니다.
3) 환자의 상태,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를 고려하여 돌봄 계획을 주기적으로 상의합니다.
3. 자문형 호스피스
1) 현재 진료과를 유지하면서 일반 병동, 응급실, 외래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자문형 호스피스 대상은 가정형 호스피스 대상과 동일합니다.
4. 소아청소년 호스피스
1) 만 24세 이하의 중증 질환 환자와 가족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2) 전국 12개 의료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호스피스 병원 돌봄
1. 통증 및 신체적 증상 관리
: 통증, 호흡곤란, 구토, 복수, 부종, 불면 등 완화
2. 심리적 돌봄
: 환자 및 가족의 불안, 우울, 슬픔 등 완화
3. 사회적 돌봄
: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 연계
4. 영적 돌봄
: 삶과 죽음에 대한 고통과 두려움을 덜어주는 상담
5. 임종 돌봄
: 임종 시기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완화하거 존엄한 죽음을 돕는 지원
6. 사별가족 돌봄
: 가족의 상실감 극복을 위한 심리적 지지 제공
호스피스 전문인력 역할
1. 의사 : 치료계획 수립 및 의학적 판단
2. 간호사 : 돌봄 조정 및 증상 관리
3. 사회복지사 : 사회, 경제적 문제 파악 및 지원
4. 종교인 : 영적 상담 제공
5. 전문치료사 : 음악치료 등 긍정적 감정 유도
6. 자원봉사자 : 정서적 지지 및 말벗

호스피스 병원 비용
1. 입원형 호스피스
: 입원비는 일당정액, 식대는 추가비용이 발생
: 마약성 진통제, 일부 완화목적 시술, 돌봄상담료 등은 별도의 산정특례가 적용
2. 가정형 호스피스
: 방문 시 본인부담금
: 방문회당 의사 6,700원, 간호사 4,500원, 사회복지사 2,700원
3. 자문형 호스피스
: 초기 상담 5,400원
: 재상담 회당 약 3,600원
국내 호스피스 기관 현황
1. 입원형 기관 98개 (약 1,700병상)
2. 가정형 기관 39개
3. 자문형 기관 42개
4.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기관 12개
: 지역별로는 수도권 56개, 강원권 4개, 충청권 11개, 경상권 32개, 전라권 15개, 제주권 1개
마무리
보건복지부는 2028년까지 호스피스 전문기관을 360개로 확대하고, 호스피스 이용률을 33%에서 50%로 올릴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환자와 가족이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